
Aptos 소개
앱토스에서는 블록체인의 확장성과 보안에 대한 개선이 먼저 이루어짐에 따라 일반 대중들이 다양한 웹3에 접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고, 개발방향 또한 이쪽으로 맞추어져 있다. 앱토스는 크립토시장에서 한때 기대가 높았던 메타(페이스북)의 디엠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연장선이다. 디엠 블록체인이 메타에서 프로젝트 사업을 중단하게 되고 추후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개발자와 팀원들이 나와 시작하게 된 블록체인 프로젝트이다.
" 우리의 목표는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이 크립토 자산에 대한 공평하고 공정한 접근이 가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Mo shaikh(앱토스 창업자)
메타에서 진행하던 프로젝트였던 기대감으로 업비트,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등 거대 거래소에서 런칭을 동시에 진행하게 되었다.
AptosBFT
단순히 거대 거래소에서는 메타의 개발진이어서 상장을 채택한 것은 아닐 것이다. 따라서 앱토스의 장점은 무엇이었을까? 생각해보면 앱토스는 확장성과 보안성을 목표로 했기에 BFT(Byzantine Fault Tolerant)방식을 사용했다. 이 방식은 이오스나 코스모스부터 꾸준히 사용되었지만 가장 발전된 BFT를 앱토스가 추구하는 방향에 맞게 변형하여 사용한다. 이는 효율적일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Move
무브는 앱토스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메타의 기업 모토인 "move fast with stable infrastructure" 에서 파생되었다고해도 무방하다. 알고랜드와 스택스의 클레디티라는 프로그래밍 언어, 솔라나에선 러스트라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스타일을 가진 프로그래밍 언어를 채택하여 블록체인을 설계하였다. 무브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게 된 이유는 웹 3 시장이 커지면서 스마트 컨트랙트들이 관리해야하는 자본의 규모가 커지게 되었고, 보안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안성을 지적받았던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의 차별화를 둔 것이다.
속도

앱토스의 TPS와 부수적인 요소를 모두 고려했을 때, 앱토스는 솔라나와 비교해도 될 처리능력을 보여준다. 앱토스가 이러한 트랜잭션 속도와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었던 이유는 AptosBFT 와 Move 가 아닐까 싶다.
센디네어는 BaaS(Blochchain as a service) 스타트업으로서 블록체인과 기업간의 간극을 줄여, 더 많은 사람들이 블록체인 서비스를 접할 수 있고자 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회사 홈페이지: https://sendinair.com
회사 Twitter :https://twitter.com/sendinair
Aptos NFT marketplace: nodegen.xyz
NODEGEN Twitter: https://twitter.com/NODEGEN
'Crypto Issu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타버스"우리가 알고 있어야 할 지식들" (1) | 2022.10.17 |
---|---|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1) | 2022.10.14 |
[NFT]해외 NFT 거래소와 순위를 알아보자 (6) | 2022.10.12 |
[DeFi]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하는 이유 (8) | 2022.10.04 |
[Web 3.0] 하나의 포스트로 알아보자! (3) | 2022.09.27 |
댓글